[보도자료]
양천장애인유권자연대,
2026년 지선 대응 장애 정책 공론장 성료
- 장애인 유권자에게 필요한 정책제안서 마련 -
1. 양천장애인유권자연대(이하 유권자연대) 장애인 유권자에게 필요한 정책 개발과 지역사회 환경 개선을 위해 ‘장애정책제안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10월 28일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응 및 공약 개발을 위한 유권자 간담회 ‘장애 정책 공론장’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2. 이번 간담회는 유권자연대의 경과보고, 미니강의, 정책 개발 그룹활동 등으로 진행되었으며, 장애 정책에 관심 있는 장애인 당사자, 가족, 지원자 등 50여 명이 함께하였다. 참가자들은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장애인 유권자에게 필요한 정책과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고 제안하는 시간을 가졌다.
3. 경과보고를 통해 장애인 권리보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 경과를 공유했다. 유권자연대는 2022년 중증장애인의 권리보장과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조직되었으며, 2023년 첫 번째 장애 정책 공론장을 개최해 2024년 총선을 앞두고 당사자가 직접 정책제안서를 작성·발표하고, 이를 ‘쉬운 정보’로 다시 제작해 후보자에게 전달하는 등 장애인 정치참여의 기반을 마련해 왔다.
4. 올해 공론장에서는 2026년 지방선거를 대비해 장애인 유권자에게 필요한 의제를 함께 논의하고, 새로운 정책제안서를 마련하기 위해 다시 모였다. 정책 개발 그룹활동에서는 다양한 장애 의제 중 우선순위 5가지(①자립생활, ②주거, ③일자리, ④재난ㆍ안전, ⑤정보접근성)를 선정하고, 장애인의 일상 안에서 불편한 점과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책과 서비스가 무엇인지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5. 장애인 유권자들은 “누구나 일할 수 있는 환경과 일자리가 필요하다. 나도 정규직으로 일하고 싶다.”, “양천구에 장애인 치과병원이 생겼으면 좋겠다.”, “모두를 위한 쉬운 정보가 필요하다. 양천구에도 AAC 마을이 있었으면 좋겠다.”, “탈시설 이후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서비스가 더 많아져야 한다.” 등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6.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이 5가지의 정책제안서가 마련되었다. ▲자립생활: 재가장애인 자립생활 정착금 지원 확대 ▲주거: 장애 유형별 개별 맞춤형 편의시설 지원 및 주거약자 주택공급 확대 ▲일자리: 취업 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 및 다양한 직무 개발 ▲재난ㆍ안전: 양천구 장애인 전문 치과 개원 및 장애인권교육 의무화 ▲정보접근성: 쉬운 설명서 제공(카페 메뉴, 음식점, 은행 등), 배리어프리(Barrier-Free) 키오스크 보급
7. 공론장에서 제안된 정책은 11월 5일부터 11월 14일까지(2주간) 지역사회 장애인 당사자, 가족, 지원인력, 유관기관 종사자 등의 투표를 통해 ‘가장 제안하고 싶은 우수정책’ 한 가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8. 유권자연대는 향후 선정된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2026년 지방선거 후보자 및 양천구의회 등에 ‘쉬운 정책제안서’ 형태로 전달하여 장애인 유권자의 의견이 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장애인 완전한 권리보장과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활동을 계속 이어나갈 예정이다.
| 
			 
 
  |